본문 바로가기

🧑🏻‍🏫교육 자료/👩‍🏫우쿨 수업팁

우쿨렐레를 활용한 '2022개정 음악과 교육과정 초등학교 성취기준' 달성을 위한 구체적인 수업 방안

반응형

초등학교 56학년군 음악과 성취기준을 예로 들어 작성함.

2022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pdf
2.02MB

 

 

(1) 연주

[6음01-01] 바른 주법과 표현 기법을 익혀 노래나 악기로 느낌을 담아 연주한다.

  1. 우쿨렐레 기본 주법 익히기 및 곡 연주
    학생들에게 우쿨렐레 기본 스트럼 패턴(다운스트로크, 업스트로크 등)과 핑거스타일 주법을 가르친 뒤, 동요나 간단한 대중가요를 연주하게 합니다. 각자의 감정과 해석에 맞게 연주하면서 표현력을 키우는 활동입니다.
  2. 감정 표현 연주 활동
    같은 곡을 서로 다른 감정(예: 기쁨, 슬픔, 분노 등)을 담아 연주하도록 지도합니다. 학생들이 곡의 분위기에 따라 스트럼 강약이나 템포를 조정하며 표현 기법을 익히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6음01-02] 음악 요소를 살려 노래나 악기로 발표하고 과정을 돌아본다.

  1. 우쿨렐레 합주 및 피드백 활동
    학생들이 2~3명씩 팀을 이루어 간단한 곡을 합주하고 발표합니다. 발표 후에는 각 팀의 연주를 함께 감상하며 리듬, 템포, 음정 등의 음악 요소를 중심으로 피드백을 주고받습니다.
  2. 연주 과정 포트폴리오 제작
    학생들이 연주 곡을 선정하고 연습 과정을 사진, 영상, 글로 기록하여 포트폴리오를 만듭니다. 발표 후 이를 돌아보며 스스로 연습 과정을 반성하고 개선할 점을 찾는 활동입니다.

[6음01-03] 소리의 어울림을 생각하며 다양한 방법으로 함께 표현한다.

  1. 코드 연습을 통한 즉흥 연주
    우쿨렐레의 주요 코드(C, Am, F, G 등)를 사용해 즉흥 연주를 하며 다른 학생들과 조화를 이루는 방법을 배웁니다. 한 학생이 멜로디를 연주하면 다른 학생들이 배경 코드를 연주하며 소리의 어울림을 경험합니다.
  2. 우쿨렐레와 타악기 협동 연주
    우쿨렐레 연주자와 리듬악기 연주자(박수, 캐스터네츠 등)가 함께 협동하여 곡을 연주합니다. 연주를 준비하며 각 악기가 조화를 이루는 방법을 고민하게 합니다.

[6음01-04] 간단한 형태의 연주를 준비하여 생활 속 음악 활동에 참여한다.

  1. 생활 속 테마 연주 준비
    학생들에게 "학교 생활", "가족", "자연"과 같은 테마를 주고 관련된 간단한 곡을 연주하도록 합니다. 발표 후에는 연주를 실제 생활 속에서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을 이야기합니다.
  2. 우쿨렐레 버스킹 체험
    학생들이 자신 있는 곡을 준비하여 교실이나 학교 행사의 쉬는 시간 동안 간단한 버스킹 형태로 연주하도록 합니다. 이를 통해 음악이 생활 속에서 어떻게 활용될 수 있는지 체험하게 합니다.

(2) 감상

[6음02-01] 음악을 듣고 음악의 요소를 감지하며 구별한다.

  1. 우쿨렐레로 음악 요소 탐구
    특정 곡을 우쿨렐레로 간단히 연주하거나 들어본 뒤, 리듬, 멜로디, 템포, 다이내믹(강약) 등을 구별하는 활동입니다. 학생들이 곡의 각 요소를 찾아내고 우쿨렐레로 표현해보게 합니다.
  2. 음악 요소 퀴즈
    다양한 음악을 들려준 뒤, 학생들이 리듬 패턴을 손뼉으로 따라하거나 템포의 빠르기를 구별해보게 합니다. 우쿨렐레로 간단히 리듬이나 멜로디를 재현하며 감각을 키웁니다.

[6음02-02] 다양한 문화권의 음악을 듣고 음악적 특징과 음악의 간단한 구성을 인식한다.

  1. 세계 음악 탐험과 연주
    다양한 문화권의 전통 음악(예: 하와이 음악, 스페인 플라멩코, 아프리카 리듬)을 들려준 뒤, 각 음악의 특징(리듬, 화음, 템포 등)을 파악합니다. 하와이 전통 곡을 우쿨렐레로 연주하며 하와이 음악의 특징을 직접 경험합니다.
  2. 문화권별 우쿨렐레 연주 스타일 비교
    학생들에게 하와이언 스타일과 현대 팝 스타일의 우쿨렐레 연주를 비교해보게 한 후, 각 스타일의 특징을 정리하고 간단한 곡을 따라 연주해보는 활동입니다.

[6음02-03] 다양한 종류의 음악을 듣고 음악의 배경과 활용을 설명한다.

  1. 음악의 활용 찾기
    학생들에게 영화, 광고, 행사 등에서 사용된 음악을 들려주고, 이 음악이 어떤 배경이나 목적에서 사용되었는지 토론합니다. 우쿨렐레 연주로 이와 비슷한 분위기의 곡을 만들어보는 활동도 추가할 수 있습니다.
  2. 테마에 따른 음악 배경 분석
    특정 음악을 들으며 그 배경(예: 시대, 지역, 행사)을 추측하고, 우쿨렐레로 비슷한 느낌의 짧은 멜로디를 작곡하는 활동을 진행합니다.

[6음02-04] 생활 속에서 음악을 찾아 들으며 아름다움을 느끼고 공감한다.

  1. 생활 속 소리와 음악 만들기
    주변에서 들리는 생활 속 소리(예: 빗소리, 새소리)를 모방하여 우쿨렐레로 간단한 음악을 만들어봅니다. 학생들이 자연의 소리와 음악적 아름다움을 느끼고 표현하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2. 음악 일기 쓰기
    학생들에게 일주일 동안 자신이 들었던 음악을 기록하게 하고, 그 음악에서 느꼈던 감정이나 경험을 공유하게 합니다. 이후 간단한 곡을 우쿨렐레로 연주하며 표현하는 시간을 갖습니다.

[6음02-05] 우리나라 음악 문화유산을 찾아 듣고 국악의 가치를 인식한다.

  1. 국악과 우쿨렐레의 조화
    판소리나 가야금 산조 같은 전통 국악을 들려주고, 우쿨렐레로 전통 국악 선율을 간단히 재현해봅니다. 국악의 음계와 특징을 이해하는 활동으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2. 국악 곡 창작 및 발표
    국악에서 자주 사용되는 음계를 활용하여 학생들이 우쿨렐레로 짧은 곡을 작곡합니다. 작곡한 곡을 발표하며 국악과 현대 악기의 융합 가능성을 탐구합니다.

(3) 창작

[6음03-01] 느낌과 아이디어를 떠올려 여러 매체나 방법으로 자신감 있게 표현한다.

  1. 우쿨렐레 연주와 퍼포먼스 발표
    학생들이 특정 주제(예: "행복한 날", "비 오는 날")를 떠올리며 우쿨렐레로 곡을 연주하거나 짧은 즉흥 연주를 만들어 발표합니다. 발표 시 자신감 있게 연주하고, 동작이나 표정을 더해 퍼포먼스로 표현하도록 격려합니다.
  2. 스토리텔링 음악 활동
    간단한 이야기(예: "숲 속 탐험", "바닷가 여행")를 들려준 뒤, 학생들이 우쿨렐레와 소품(리듬 악기 등)을 활용해 이야기의 장면을 음악으로 표현하도록 합니다. 발표 후 서로의 아이디어를 공유하며 자신감을 키웁니다.

[6음03-02] 기초적인 기보를 활용하여 간단한 조건에 따라 악곡의 일부를 바꾼다.

  1. 우쿨렐레 코드 바꾸기 활동
    간단한 곡을 주고 특정 코드(예: C 코드를 G 코드로 변경)를 바꾸어 연주하게 합니다. 바뀐 부분에서 곡의 분위기가 어떻게 달라지는지 느껴보고 토론하게 합니다.
  2. 멜로디 변형 활동
    주어진 멜로디의 일부를 변경해보는 활동을 진행합니다. 학생들에게 기초 기보법(타브 악보, 간단한 음표)을 제공한 후, 멜로디를 바꾸고 우쿨렐레로 연주하며 변경된 멜로디의 느낌을 공유합니다.

[6음03-03] 음악의 요소를 활용하여 간단한 음악을 만든다.

  1. 리듬 만들기와 연주
    간단한 리듬(예: 4분음표, 8분음표)을 조합해 학생들이 짧은 곡을 만들고, 우쿨렐레로 연주합니다. 리듬을 다양하게 조합해본 후, 친구들과 비교하며 음악적 창의력을 키웁니다.
  2. 3코드 곡 만들기
    학생들에게 주요 3코드(C, F, G)를 알려주고, 이를 활용해 짧은 곡(8마디)을 작곡하게 합니다. 완성된 곡을 우쿨렐레로 연주하며 발표하는 활동으로 이어갑니다.

[6음03-04] 생활 주변 상황이나 이야기를 활용하여 음악을 만들며 열린 태도를 갖는다.

  1. 일상 주제 곡 만들기
    "학교에서 있었던 재미있던 일", "주말에 한 일" 같은 학생들의 일상 이야기를 기반으로 짧은 멜로디를 작곡하게 합니다. 우쿨렐레로 곡을 연주하며 발표하고, 친구들의 이야기를 들어보며 서로 공감대를 형성합니다.
  2. 소리로 그리는 풍경
    자연 소리나 생활 속 소리(예: 바람 소리, 비 소리)를 상상하며 우쿨렐레로 이를 표현해 곡을 만듭니다. 학생들이 만든 곡을 발표하며 열린 태도로 서로의 창작물을 감상하고 칭찬하는 시간을 가집니다.

https://11ukul.com/536

 

음악과 성취기준을 반영한 우쿨렐레 60차시 수업 계획안

https://11ukul.com/535 우쿨렐레를 활용한 '2022개정 음악과 교육과정 초등학교 성취기준' 달성을 위한 구체적인 수업 방초등학교 56학년군 음악과 성취기준을 예로 들어 작성함.  (1) 연주[6음01-01]

11ukul.com

 

반응형

11ukul.com
CC BY-NC-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