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초등학교 56학년군 음악과 성취기준을 예로 들어 작성함.
(1) 연주
[6음01-01] 바른 주법과 표현 기법을 익혀 노래나 악기로 느낌을 담아 연주한다.
- 우쿨렐레 기본 주법 익히기 및 곡 연주
학생들에게 우쿨렐레 기본 스트럼 패턴(다운스트로크, 업스트로크 등)과 핑거스타일 주법을 가르친 뒤, 동요나 간단한 대중가요를 연주하게 합니다. 각자의 감정과 해석에 맞게 연주하면서 표현력을 키우는 활동입니다. - 감정 표현 연주 활동
같은 곡을 서로 다른 감정(예: 기쁨, 슬픔, 분노 등)을 담아 연주하도록 지도합니다. 학생들이 곡의 분위기에 따라 스트럼 강약이나 템포를 조정하며 표현 기법을 익히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6음01-02] 음악 요소를 살려 노래나 악기로 발표하고 과정을 돌아본다.
- 우쿨렐레 합주 및 피드백 활동
학생들이 2~3명씩 팀을 이루어 간단한 곡을 합주하고 발표합니다. 발표 후에는 각 팀의 연주를 함께 감상하며 리듬, 템포, 음정 등의 음악 요소를 중심으로 피드백을 주고받습니다. - 연주 과정 포트폴리오 제작
학생들이 연주 곡을 선정하고 연습 과정을 사진, 영상, 글로 기록하여 포트폴리오를 만듭니다. 발표 후 이를 돌아보며 스스로 연습 과정을 반성하고 개선할 점을 찾는 활동입니다.
[6음01-03] 소리의 어울림을 생각하며 다양한 방법으로 함께 표현한다.
- 코드 연습을 통한 즉흥 연주
우쿨렐레의 주요 코드(C, Am, F, G 등)를 사용해 즉흥 연주를 하며 다른 학생들과 조화를 이루는 방법을 배웁니다. 한 학생이 멜로디를 연주하면 다른 학생들이 배경 코드를 연주하며 소리의 어울림을 경험합니다. - 우쿨렐레와 타악기 협동 연주
우쿨렐레 연주자와 리듬악기 연주자(박수, 캐스터네츠 등)가 함께 협동하여 곡을 연주합니다. 연주를 준비하며 각 악기가 조화를 이루는 방법을 고민하게 합니다.
[6음01-04] 간단한 형태의 연주를 준비하여 생활 속 음악 활동에 참여한다.
- 생활 속 테마 연주 준비
학생들에게 "학교 생활", "가족", "자연"과 같은 테마를 주고 관련된 간단한 곡을 연주하도록 합니다. 발표 후에는 연주를 실제 생활 속에서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을 이야기합니다. - 우쿨렐레 버스킹 체험
학생들이 자신 있는 곡을 준비하여 교실이나 학교 행사의 쉬는 시간 동안 간단한 버스킹 형태로 연주하도록 합니다. 이를 통해 음악이 생활 속에서 어떻게 활용될 수 있는지 체험하게 합니다.
(2) 감상
[6음02-01] 음악을 듣고 음악의 요소를 감지하며 구별한다.
- 우쿨렐레로 음악 요소 탐구
특정 곡을 우쿨렐레로 간단히 연주하거나 들어본 뒤, 리듬, 멜로디, 템포, 다이내믹(강약) 등을 구별하는 활동입니다. 학생들이 곡의 각 요소를 찾아내고 우쿨렐레로 표현해보게 합니다. - 음악 요소 퀴즈
다양한 음악을 들려준 뒤, 학생들이 리듬 패턴을 손뼉으로 따라하거나 템포의 빠르기를 구별해보게 합니다. 우쿨렐레로 간단히 리듬이나 멜로디를 재현하며 감각을 키웁니다.
[6음02-02] 다양한 문화권의 음악을 듣고 음악적 특징과 음악의 간단한 구성을 인식한다.
- 세계 음악 탐험과 연주
다양한 문화권의 전통 음악(예: 하와이 음악, 스페인 플라멩코, 아프리카 리듬)을 들려준 뒤, 각 음악의 특징(리듬, 화음, 템포 등)을 파악합니다. 하와이 전통 곡을 우쿨렐레로 연주하며 하와이 음악의 특징을 직접 경험합니다. - 문화권별 우쿨렐레 연주 스타일 비교
학생들에게 하와이언 스타일과 현대 팝 스타일의 우쿨렐레 연주를 비교해보게 한 후, 각 스타일의 특징을 정리하고 간단한 곡을 따라 연주해보는 활동입니다.
[6음02-03] 다양한 종류의 음악을 듣고 음악의 배경과 활용을 설명한다.
- 음악의 활용 찾기
학생들에게 영화, 광고, 행사 등에서 사용된 음악을 들려주고, 이 음악이 어떤 배경이나 목적에서 사용되었는지 토론합니다. 우쿨렐레 연주로 이와 비슷한 분위기의 곡을 만들어보는 활동도 추가할 수 있습니다. - 테마에 따른 음악 배경 분석
특정 음악을 들으며 그 배경(예: 시대, 지역, 행사)을 추측하고, 우쿨렐레로 비슷한 느낌의 짧은 멜로디를 작곡하는 활동을 진행합니다.
[6음02-04] 생활 속에서 음악을 찾아 들으며 아름다움을 느끼고 공감한다.
- 생활 속 소리와 음악 만들기
주변에서 들리는 생활 속 소리(예: 빗소리, 새소리)를 모방하여 우쿨렐레로 간단한 음악을 만들어봅니다. 학생들이 자연의 소리와 음악적 아름다움을 느끼고 표현하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 음악 일기 쓰기
학생들에게 일주일 동안 자신이 들었던 음악을 기록하게 하고, 그 음악에서 느꼈던 감정이나 경험을 공유하게 합니다. 이후 간단한 곡을 우쿨렐레로 연주하며 표현하는 시간을 갖습니다.
[6음02-05] 우리나라 음악 문화유산을 찾아 듣고 국악의 가치를 인식한다.
- 국악과 우쿨렐레의 조화
판소리나 가야금 산조 같은 전통 국악을 들려주고, 우쿨렐레로 전통 국악 선율을 간단히 재현해봅니다. 국악의 음계와 특징을 이해하는 활동으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 국악 곡 창작 및 발표
국악에서 자주 사용되는 음계를 활용하여 학생들이 우쿨렐레로 짧은 곡을 작곡합니다. 작곡한 곡을 발표하며 국악과 현대 악기의 융합 가능성을 탐구합니다.
(3) 창작
[6음03-01] 느낌과 아이디어를 떠올려 여러 매체나 방법으로 자신감 있게 표현한다.
- 우쿨렐레 연주와 퍼포먼스 발표
학생들이 특정 주제(예: "행복한 날", "비 오는 날")를 떠올리며 우쿨렐레로 곡을 연주하거나 짧은 즉흥 연주를 만들어 발표합니다. 발표 시 자신감 있게 연주하고, 동작이나 표정을 더해 퍼포먼스로 표현하도록 격려합니다. - 스토리텔링 음악 활동
간단한 이야기(예: "숲 속 탐험", "바닷가 여행")를 들려준 뒤, 학생들이 우쿨렐레와 소품(리듬 악기 등)을 활용해 이야기의 장면을 음악으로 표현하도록 합니다. 발표 후 서로의 아이디어를 공유하며 자신감을 키웁니다.
[6음03-02] 기초적인 기보를 활용하여 간단한 조건에 따라 악곡의 일부를 바꾼다.
- 우쿨렐레 코드 바꾸기 활동
간단한 곡을 주고 특정 코드(예: C 코드를 G 코드로 변경)를 바꾸어 연주하게 합니다. 바뀐 부분에서 곡의 분위기가 어떻게 달라지는지 느껴보고 토론하게 합니다. - 멜로디 변형 활동
주어진 멜로디의 일부를 변경해보는 활동을 진행합니다. 학생들에게 기초 기보법(타브 악보, 간단한 음표)을 제공한 후, 멜로디를 바꾸고 우쿨렐레로 연주하며 변경된 멜로디의 느낌을 공유합니다.
[6음03-03] 음악의 요소를 활용하여 간단한 음악을 만든다.
- 리듬 만들기와 연주
간단한 리듬(예: 4분음표, 8분음표)을 조합해 학생들이 짧은 곡을 만들고, 우쿨렐레로 연주합니다. 리듬을 다양하게 조합해본 후, 친구들과 비교하며 음악적 창의력을 키웁니다. - 3코드 곡 만들기
학생들에게 주요 3코드(C, F, G)를 알려주고, 이를 활용해 짧은 곡(8마디)을 작곡하게 합니다. 완성된 곡을 우쿨렐레로 연주하며 발표하는 활동으로 이어갑니다.
[6음03-04] 생활 주변 상황이나 이야기를 활용하여 음악을 만들며 열린 태도를 갖는다.
- 일상 주제 곡 만들기
"학교에서 있었던 재미있던 일", "주말에 한 일" 같은 학생들의 일상 이야기를 기반으로 짧은 멜로디를 작곡하게 합니다. 우쿨렐레로 곡을 연주하며 발표하고, 친구들의 이야기를 들어보며 서로 공감대를 형성합니다. - 소리로 그리는 풍경
자연 소리나 생활 속 소리(예: 바람 소리, 비 소리)를 상상하며 우쿨렐레로 이를 표현해 곡을 만듭니다. 학생들이 만든 곡을 발표하며 열린 태도로 서로의 창작물을 감상하고 칭찬하는 시간을 가집니다.
https://11ukul.com/53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