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교육 자료/👩‍🏫우쿨 수업팁

음악과 성취기준을 반영한 우쿨렐레 60차시 수업 계획안

반응형

 

이 수업 계획안은 계획을 위한 도움자료일 뿐입니다.(with chatGPT)

교육 목표

  • 우쿨렐레를 활용하여 음악의 기초 개념(리듬, 멜로디, 화음 등)을 익히고, 다양한 음악적 표현 방법을 학습한다.
  • 창의적 음악 활동을 통해 성취기준을 달성하고, 자신감을 키우며 음악적 태도를 기른다.

1. 도입부: 우쿨렐레의 기본 이해 (1–10차시)

목표: 우쿨렐레의 기본 구조와 연주법을 배우고, 간단한 곡을 연주할 수 있다.

  • 1–2차시: 우쿨렐레의 구조와 조율법 이해하기
    활동: 우쿨렐레 각 부분의 명칭 익히기, 튜닝 연습
    • 관련 성취기준: [6음01-01]
  • 3–4차시: 기본 스트럼과 리듬 연습
    활동: 다운스트로크와 업스트로크 연습, 간단한 리듬 연주
    • 관련 성취기준: [6음01-01], [6음03-01]
  • 5–7차시: 기본 코드(C, Am, F, G) 연습
    활동: 코드 전환 연습 및 간단한 곡(예: "You Are My Sunshine") 연주
    • 관련 성취기준: [6음01-01], [6음01-04]
  • 8–9차시: 간단한 곡의 멜로디 연주
    활동: 타브 악보를 활용하여 멜로디 연주하기
    • 관련 성취기준: [6음01-01], [6음02-01]
  • 10차시: 성취 확인 및 발표
    활동: 각자 연습한 곡을 발표하고 피드백 나누기
    • 관련 성취기준: [6음01-02]

2. 음악 요소 탐구와 연주 심화 (11–20차시)

목표: 음악의 다양한 요소(리듬, 멜로디, 화음)를 탐구하고 연주 기술을 심화한다.

  • 11–12차시: 리듬 패턴 심화
    활동: 다양한 리듬 패턴(8비트, 칼립소 패턴 등) 연습
    • 관련 성취기준: [6음01-01], [6음02-01]
  • 13–14차시: 멜로디와 화음의 조화 이해
    활동: 멜로디 연주 위에 코드 반주 얹기
    • 관련 성취기준: [6음01-03]
  • 15–17차시: 음악 요소 분석
    활동: 다양한 곡을 듣고 리듬, 템포, 멜로디 등의 요소 분석하기
    • 관련 성취기준: [6음02-01], [6음02-03]
  • 18–19차시: 간단한 합주 준비
    활동: 그룹별로 역할을 나눠 합주 곡 연습
    • 관련 성취기준: [6음01-03], [6음01-04]
  • 20차시: 합주 발표 및 성취 확인
    활동: 팀별 합주 발표 및 과정 돌아보기
    • 관련 성취기준: [6음01-02], [6음03-01]

3. 창의적 음악 활동 (21–40차시)

목표: 창의적 음악 표현 활동과 다양한 문화권의 음악 경험을 통해 음악적 감수성을 키운다.

  • 21–23차시: 다양한 문화권의 음악 연주
    활동: 하와이 음악, 민속 음악 등을 듣고 연주하기
    • 관련 성취기준: [6음02-02], [6음02-03]
  • 24–25차시: 이야기와 연주 연결
    활동: 짧은 이야기나 그림을 보고 느낀 감정을 연주로 표현
    • 관련 성취기준: [6음03-01], [6음03-04]
  • 26–28차시: 즉흥 연주 활동
    활동: 주어진 리듬이나 화음 진행에 맞춰 즉흥적으로 연주
    • 관련 성취기준: [6음03-03]
  • 29–31차시: 간단한 작곡 활동
    활동: 4마디짜리 멜로디와 화음 곡 만들기
    • 관련 성취기준: [6음03-02], [6음03-03]
  • 32–34차시: 국악과의 융합
    활동: 국악 선율(예: 아리랑)을 우쿨렐레로 연주하고 분석
    • 관련 성취기준: [6음02-05]
  • 35–38차시: 팀별 창작 및 합주 준비
    활동: 주제를 정해 곡을 만들고 팀별로 연습
    • 관련 성취기준: [6음03-04]
  • 39–40차시: 창작 곡 발표 및 피드백
    활동: 각 팀이 창작한 곡 발표 후 감상 및 토론
    • 관련 성취기준: [6음01-02], [6음03-01]

4. 종합 활동 및 마무리 (41–60차시)

목표: 배운 내용을 종합하여 연주 실력을 점검하고, 생활 속 음악 활동으로 확장한다.

  • 41–43차시: 생활 속 음악 탐구
    활동: 생활 속 소리를 모방하거나, 생활과 관련된 곡 연주
    • 관련 성취기준: [6음02-04]
  • 44–46차시: 학생 주도 프로젝트
    활동: 학생들이 스스로 주제를 정해 연습하고 발표 준비
    • 관련 성취기준: [6음03-01], [6음03-04]
  • 47–49차시: 다양한 음악적 표현 탐구
    활동: 곡의 분위기(슬픔, 기쁨 등)를 다르게 표현하며 연주
    • 관련 성취기준: [6음03-01], [6음01-01]
  • 50–54차시: 학교 행사 참여 준비
    활동: 연주곡 선정, 연습 및 발표 준비
    • 관련 성취기준: [6음01-04]
  • 55–58차시: 최종 합주 리허설
    활동: 팀별 또는 학급 전체 합주 리허설
    • 관련 성취기준: [6음01-03], [6음03-03]
  • 59–60차시: 최종 발표회 및 마무리
    활동: 학부모 초청 발표회 진행, 수업 내용 정리 및 피드백
    • 관련 성취기준: [6음01-02], [6음02-04]

평가 계획

  1. 과정 중심 평가: 연주 과정에서의 성실도, 협동심, 창의성을 평가.
  2. 결과 중심 평가: 발표회에서의 연주 완성도 및 음악적 표현력 평가.
  3. 자기 평가 및 상호 평가: 학생들이 스스로 자신의 발전 정도를 점검하고 동료의 연주를 평가.

 

반응형

11ukul.com
CC BY-NC-ND